전 세계적 대중항쟁 물결에 대한 부르주아 연구의 증언
미하헬 프뢰브스팅, 혁명적 공산주의인터내셔널동맹 (RCIT) 국제서기, 2020년 3월 12일, www.thecommunists.net
역사적인 쇠퇴·부후화(腐朽化)의 단계에 있는 계급으로서 부르주아지는 때로 어리석은 광대들에 의해 이끌리지만 (깊이 생각할 것 없이 백악관이나 다우닝가 10번지 [트럼프와 영국 총리 존슨]를 떠올리면 될 것이다), 좀 더 총명한 자들도 그들 부르주아 대열에 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맞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제국주의 지배계급들은 모두 이른바 싱크탱크 네트워크를 통째로 고용하여, 이 기관들에게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정세 발전을 분석하게 하고 필요한 조치들을 조언하도록 한다.
이러한 싱크탱크의 임무 중 하나는 부르주아지에게 그들 체제의 정치적 안정성 및 대중항의의 정도·수위에 대한 평가를 공급하는 것이다. 혁명가들이 지배계급 및 지배계급 분파들의 전략과 내적 모순을 알 필요가 있듯이, 부르주아지도 노동자계급 및 인민대중의 분위기와 동향에 대한 파악과 인식을 필요로 한다.
이런 맥락에서, 미국에 본부를 둔 전략국제연구센터 (CSIS)는 최근 “대중항쟁의 시대, 고조되는 글로벌 동향을 파악하다”라는 제목의 매우 흥미로운 연구를 발표했다.[1] 제목이 가리키듯이, 이 연구는 글로벌 인민항쟁 물결에 대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 혁명가들에게 특히 더 흥미로운 것은 그 연구가 가장 최근의 사태 발전에 국한하고 있지 않고, 지난 10년 동안의 대중운동에 대한 평가까지 제시하고 있어서다.
반혁명적 관점
당연한 바이지만, 저자들은 그러한 대중항쟁을 혁명적 관점에서 바라보지 않는다. 정반대로 그들은 반혁명적 관점에서 이들 사건에 접근하며, 어떻게 하면 가장 잘 대응할지 지배계급에게 조언한다. 하지만 저자들이 자본가적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맑스주의자들이 진지하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자들로서는 전 세계적 계급투쟁 물결의 상승을 당연히도 매우 걱정스럽게 관찰하기 때문에 이를 과장하고 싶은 욕구가 있을 리는 없다. 실제로 그들은 워싱턴이 세계적인 대중봉기 물결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아 다음과 같이 경고하고 있다. “미국 정부가 전 세계적 항쟁의 밀물에 체계적인 대응을 전개하는 데 실패했다.”
우리는 또 서방 독점 부르주아지의 핵심 대변지인 <<이코노미스트>>지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 연구를 보도한 것 ㅡ 그것이 심중하고 비중 있는 연구라는 사실을 반영하는 ㅡ 에 주목한다.[2]
CSIS 저자들은 전 국가안보 보좌관 즈비그류 브레진스키의 “전 세계적 정치 각성” 테제를 긍정적으로 언급한다. “역사상 처음으로 거의 전 인류가 정치적으로 활성화되었고, 정치적으로 의식적이 되었고, 정치적으로 쌍방향적이 되었다.”[3]
이 짧은 글에서 우리는 그 연구의 중심 결론을 개괄하는 것에 국한하고자 한다. CSIS 저자들은 2019년 한 해에만 전 세계 114개국이 반정부 시위 ㅡ “10년 전과만 비교해도 31% 더 많은” ㅡ 를 겪었다고 밝힌다.
대중항쟁의 전 세계적 고조
CSIS 저자들은 이것이 일회적인 사건이 아니라 세계적인 “메가 트렌드”의 표현임을 강조한다. 대중항쟁은 "사실상 세계의 모든 주요 인구 밀집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10년 지속 추세선의 일부다." 아랍 혁명이 지난 10년 동안 일어난 전 세계적 대중항쟁 물결의 도화선이었음을 인정하면서도 저자들은, 지금 다루고 있는 것은 지역적인 현상이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임을 강조한다. "이러한 더 넓은 맥락에서 볼 때, 아랍의 봄 사건은 고립된 현상이 아니라, 널리 증가하는 세계적 추세의 특히 첨예한 표현이었다."
2009년 이래의 상황을 분석하면서 저자들은 이 10년 동안 대중항쟁이 거의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고 결론짓고 있다. 평균적으로 전 세계에서 대중항쟁이 해마다 11.5%씩 증가했다고 저자들은 말한다. 지역별로 다음과 같은 수치가 제시되고 있다. 중동과 북아프리카가 +16.5%, 사하라 이남아프리카가 +23.8%, 남미가 +18.9%, 중미와 카리브해 지역이 +15.7%, 북미가 +17.0%, 유럽이 +12.2%, 아시아가 +9.9%, 오세아니아가 +4.9% 등. 저자들은 중동과 북아프리카가 "가장 큰 활동 집중성"을 가지고 있고,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가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고 결론 내린다.
전 세계적 대중항쟁 물결을 이 CSIS의 저자들이 역사적 맥락 속에 위치 짓고 있는 방식도 흥미롭다. 저자들은 지난 10년을 지난 반세기 동안의 사태 전개와 비교하고 난 뒤, 우리는 그 이전보다 훨씬 더 중요한 봉기 물결을 최근 역사에서 경험했다고 결론 내린다. 그들은 다음과 같이 결론짓는다. "최근 대중시위의 규모와 빈도를 보면, 1960년대 말, 1980년대 말, 1990년대 초와 같은 대규모 시위 시절의 역사적 사례들이 무색해진다.”
저자들은 인구 증가를 반영하여 조정한 뒤에도, 최근 몇 년 동안 거리로 나선 시위자의 수는 베트남 전 반전운동이나 민권운동 시위자 수를 능가한다고 계산한다!
이 연구는 맑스주의자가 아닌 부르주아 분석가들에 의해 수행된 것이므로 그들의 통계는 계급투쟁과 진보적인 민중봉기뿐만 아니라 반동적 운동들 (예를 들어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CSIS 연구의 일반적인 결론을 무효화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첫째, 그러한 반동적 사건들은 지난 10년대에서 사소한 예외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둘째, 반동적 운동들은 그 이전의 십년대들에서도 일어났다. (예를 들어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각종 집단학살).
CSIS 연구의 저자들은 이러한 전 세계적 대중항쟁 물결은 계속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 글로벌 항쟁들의 근본원인을 분석해보면, 항쟁들이 2020년 및 그 넘어서까지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저자들은 가장 최근의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도 감안한다. 하지만 그들은 장기적으로는 이 문제 자체가 새로운 항쟁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최근 몇 주간 시위가 줄어든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병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도시 지역에서의 정부 규제와 대규모로 사람들이 모이는 것에 대한 시민들 스스로의 기피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코로나바이러스가 항쟁을 진압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팬데믹의 향후 진로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정부 대응 자체가 대대적인 정치적 항쟁의 또 다른 도화선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코노미스트>>도 이와 유사한 결론에 도달한다. "대중시위는 수백 년 동안 존재해왔다. 하지만 그 대중시위의 증가된 빈도는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된 것일지도 모른다."
맑스주의자들의 분석을 확인하다
전체적으로 CSIS 연구는 2008년에 시작된 역사적 시기에 대한 맑스주의적 성격규정의 매우 강력한 확인이다. 혁명적 공산주의인터내셔널 동맹 (RCIT)이 거듭 설명했듯이, 맑스주의자들은 현 역사 시기를 "혁명적" 시기로 성격규정 하고 있다.[4]
우리는 다른 여러 문서들에서 아주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현 역사 시기에 대한 우리의 분석을 이 자리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5] 요약해서 말한다면, 우리는 이 시기를 자본주의의 쇠퇴·부후화를 그 특징으로 하는 시기로 본다. 이러한 쇠퇴·부후화는 필연적으로 경제적 위기, 정치적 불안정 그리고 끊임없는 전쟁 위험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조건들이 반혁명적 위험과 함께 대중항쟁, 민중봉기, 혁명적 정세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킨다. 세계무대에서의 이러한 기본적인 균형 결여가 RCIT가 이 역사 시기를 "혁명적" 시기로 성격규정 하는 이유다.
허다한 스탈린주의자들과 자칭 “맑스주의자들”이 현 시기에 대한 이러한 성격규정을 반박한다. 그들은 현 시기를 오히려 “반동기”, “수세기”로 보며, 대중의 “후진적 의식”을 탓한다. (“트로츠키주의자들" 사이에서도 이러한 태도를 최근에 볼 수 있는데, 피터 타페가 이끄는 CWI [노동자 인터내셔널 위원회]의 최근 분열 과정에서의